본문 바로가기
서평/부동산

[서평] 3시간 공부하고 30년 써먹는 부동산 시장 분석 기법 (구만수)

by 산디수 2022. 5. 21.
728x90
반응형

우리는 왜 재테크 공부를 하는가? 
무엇 때문에 투자를 하는가? 
자산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가? 
아니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가? 
상승하고 하락하는 직간접적인 요인은 무엇인가?

결국은 이러한 요인을 알고자 하는 과정이 
재테크 공부의 본질이며 성공적인 부동산 투자를
위한 밑거름입니다.​

부동산 시장의 상승과 조정의 흐름을 
만들어내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이 책에서는 부동산 정책, 국내외 경제 상황, 
인간의 심리, 수요와 공급 4가지 요인에 

대해 분석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부동산 정책

 

투자 시장 격언 중 하나가 
'정부는 시장을 이길 수 없다'는 것입니다. 

'보이는 손'이 '보이지 않는 손'을 
이길 수 없다는 뜻이죠.

그래서 정부 정책을 만만하게 보고 
해오던 관성대로 욕심을 부려 
투자에 열을 올리는 행동은 하면 안됩니다.​

언제나 시장이 옳고 정부를 이기지만 
가끔을 정부가 이길 때도 있습니다.
즉, 장기적으로는 시장이 이기겠지만, 
단기적으로는 정부가 이길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합니다.

과거 박근혜 정부때 부동산 가격을 
상승시키기 위해 양도소득세를 5년간 
면제하는 정책을 펼친 이력이 있습니다.
정말 인생에 몇 번 오지 않을 
부동산 투자의 기회 였죠.

지금 문재인 정부는 계속 강도높은 
부동산 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레임덕 현상까지 오고 있고, 
이번 서울, 부산 재보궐선거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2021년 6월 1일 기점으로 양도세 인상, 

종부세 인상이라는 추가 정책이 시행됩니다. 

물론 정책과 무관하게 부동산 시장은 
아직 뜨겁지만 이러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꾸준히 모니터링 하여 
투자의 방향을 잡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반응형

2) 국내외 경제상황

투자는 돈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합니다. 자신의 지갑 속에 들어있는 
신사임당과 세종대왕은 돈이 아니라 화폐입니다.

돈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가치가 변하지 않는 
실물 자산이어야 합니다.​

신사임당과 세종대왕의 가치는 
일정하지 않습니다.

1965년 은행의 정기예금 이자율이 26%, 

1970년에는 22% 1980년에는 18.6%였습니다. 

지금은 연 1.3%수준으로 물가상승률에 따라 

종이화폐의 구매력은 훨훨 날아가 버리고 
은행에 넣어봐야 실질적으로 마이너스인거죠.​

새우깡의 가격이 1974년 50원에서 
2017년 1200원으로 24배나 올랐습니다. 
지금의 새우깡은 생새우로 만들고, 
예전 새우깡은 합성새우로 만들어서 그럴까요?

짜장면 가격은 1960년대 15원으로 시작해서 
현재 5000원 수준으로 333배 올랐습니다. 
지금의 짜장면과 과거 짜장면이 
달라져서 그럴까요? 

모두 화폐가치가 하락한데 이유가 있습니다. 
정부가 시장에 통화량을 늘리는지 줄이는지 

모니터링하여 투자의 방향성을 정해야 합니다.

통화량을 늘린다는건 
그만큼 화폐가치가 하락하게 되고 
반대로 부동산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3) 인간의 심리

아무 짓도 안하는 것보다 위험한 것은 
아무 짓이나 하는 것입니다. 

 

728x90


오로지 누가 얼마 벌었다는데 
나도 이참에 한번 벌어봐야겠다는 생각은
버려야합니다. 시장의 흐름과 가치 있는 
물건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평소에 공부해둬야 합니다.  

군중심리는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오로지 다수의 사람들이 하는 선택을 따라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에서도 나타나며 
실제 부동간 가격을 올리고 내리는데 
주요 인자로 작용하죠. 

부동산 초보자들이 군중심리를 이용해 
한두 번의 소소한 성공을 자신의 특별한 
재능인 것처럼 착각하고 자신의 재정 능력을 

무시한 채 과한 욕심을 부리게 되는데, 
부동산 시장은 영원한 상승도 영원한 하락도
없음을 반드시 기억해야합니다.


4) 수요와 공급

수요와 공급의 밸런스가 깨지면 기회입니다. 

부동산 시장을 읽는 법을 배우기 위해서는 
전체 시장의 수요와 공급도 봐야하지만 
지역별로 수요와 공급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도
체크해야 합니다. 

대한민국 전체 평균가격은 올라도 
지역적으로는 가격이 동일하게 오르지는 않죠.
올라도 다 같이 오르는 것이 아닙니다.

모든 부동산관련 책에서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최근 읽었던 김수현님 책에서도 강조했던 내용.

수요와 공급 상황을 꾸준히 모니터링하여 
부동산 상승장에서 뿐만 아니라 조정장,
하락장에서도 수익율을 낼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